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타로카드 14번 절제 , 정도에 넘지 아니하도록

by audrey1994 2023. 8. 8.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카드는 14번 절제 Temperance입니다. 절제는 조정또는 자발적 자제로 정의됩니다.  절제는 긍정 심리학 분류에서 지혜, 용기, 인류애, 정의 및 초월을 포함한 6가지 미덕중 하나입니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초과에 대한  통제로 특징지어지며, 순결, 겸허, 겸손, 자기 조절, 환대, 예의, 자제, 용서, 자비와 같은 특성을 통해 표현됩니다. 조절을 가리킬 수도 있습니다. 

 

이미지 

절제 카드 이미지는 천사가 호수가에 서 있습니다. 천사는 하얀 옷을 입고  빨간 날개활짝 펴고 있습니다.

천사의 이마에는 동그란 원이 있고 가슴에는 사각형 안에 삼각형이 있습니다.

 그녀는 눈을 감을 채  양손에  컵을 들고 물을 나누는 듯 합니다. 

그녀의 머리네는찬한 한 후광이 비치 있습니다.

그녀의 발은 한 발은 호수에 담고 한발은 땅을 발고 있습니다. 

그녀의 뒤에는 길이 보이며 산 위에 왕관 모양의 해 가  있습니다. 

해석 

카드번호 14번, 수비학적으로 14는 1+4로 5를 뜻합니다. 수비학에서 5는 변화와 진보의 뜻을 가집니다. 카드 5번 교황카드와  절제카드가 재응합니다. 교황카드의 중재적인 이미지와 절제카드의 중용적인 이미지가 참 닮았네요. 5는 2+3으로   최초의 남성과 최초의 여성의 가지는 두가지의 존재를 담고 있는 중재적인 모습입니다. 

가슴에 보이는 사각형안의 삼각형 모야은 3각과 4각은 3차원과 4차원의 결합이며 중요의 의미를 가집니다. 신의 숫자 3과 자연계의 합성수 4가 합쳐 7이라는 수는 완벽, 자기 절제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그리고 이 동형들은 신비주의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서로 다른 도형을 합쳐 균형을 이루게 하고,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으려는  중용과 절제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무의식과 의식의 영역을 연결시키는 중용의 태도를 의미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리대로 처리할 필요할 때가 필요함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참을성이 많고 웬만하면 맞춰는 성향입니다. 

천사가 두개의 컵으로 물을 양쪽으로 옮기는  것은 적정선을 찾는 것으로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으려는 중용과 절제의 모습입니다. 

천사는 존재는 성별이 없으며 가운데에 서있는 중재적인 존재 입니다. 천사는 불의 천사 입니다. 천사의 붉은 날개는 열정을 뜻하며 승리와 투쟁을 의미 합니다.

천사가 오른발은 물에 담고 왼발은 땅을 딛고 있습니다.  이것 또한 의시과 무의식의 중용을 의미 합니다. 

호수 옆에 핀 노란 꽃은 무지개의 여신 아이리스를 상징합니다. 아이리스는 신의 전달자로 이상을 상징합니다. 

천사뒤의 왕관 태양은  먼길위에 산 꼭대기에 있습니다,  도달하기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라는 의미 입니다. 길은 영적 수행을 의미하며 중용을 지키며 그것을 초월한 것까지 가는 길을 표현한 것 입니다. 

키워드

기본 키워드로는 절제력, 균형, 중용, 통합, 연합, 이해하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심에 서 있는 느낌이 있습니다. 저울질 하는 듯한 것이 타로카드 11번 카드인 정의 카드와도 닮아있습니다. 그러나 정의 카드는 합리적이고 차가운느낌이라면 절제카드는 조금 더 따스한 균형적이고 양쪽 모두를 생각하는 느낌 입니다. 절제 카드는 어떠한 일 , 상황에서도  균형을 맞추어 주는 느낌 입니다. 서운하지 않게..

애정에서는 도를 넘지 않고 선을  잘 지키는 애인의 느낌입니다. 연애의 외줄타기를 잘하는 사람 !!!

금전에서는 자금 회전력이 있으면서도 도를 넘지 않고 절제적인 소비를 합니다.

건강에서는 혈관 관련과 체온을 주의 해야 하며, 신진대사와 호르몬계 조심해야 합니다.  비뇨기계 주의 

직업으로는 중재자와 환전쪽 일이 잘 어울립니다. 로비스트 , 항공승무원, 해운업, 매니저, 중간도매상

균형감각이 뛰어나고 어떠한 경우에서라도 지혜롭게 해답을 찾으려고 노력합니다. 

타로상담 원하시면 https://moun.co.kr/ 오드리 상담사 입니다. 

 

모운 :: 전화운세 상담 모두의운세

 

moun.co.kr

 

반응형

댓글